전북 부안 능가산 내소사  일주문

 

      능가산 내소사  천왕문

 

      

    경북 문경 운달산 김룡사 봉명루

 

     경기 양평 용문산 용문사  일주문 ↕

 

     양평 용문산 용문사 관음전

 

     전북 김제 모악산 금산사 일주문

 

    전북 김제 모악산 금산사

 

       전북 고창 도솔산 선운사

 

      대구 팔공산 파계사 일주문

 

      경남 양산 천성산 홍룡사 요사채

 

     전북 정음 내장산 내장사 범종각

 

    청도 운강고택 백류원

  

    강화도 낙가산 보문사  일주문  ↕

 

 

     경남 남해  망운산 화방사  일주문

 

     대구 팔공산 파계사 

 

      전남 해남 두륜산 대흥사

 

     전남 해남 두륜산 일지암

 

     전남 해남 두륜산 일지암

 

     전남 두륜산 대흥사

 

    경북 문경 운달산 김룡사

 

    영광 불갑산 불갑사

 

    보성 송재 서재필 기념관의 외삼문     『開化門』 광개토대왕비문의 개字의 서체라고함.

        광개토 대왕 비문                      ####廣開土境好太王####*  광개토경호태왕

 

    속초  설악산 신흥사 사천왕문   ↕

 

   부여  만수산 무량사   ↕

 

    부산 태종대 태종사

 

    통영 미륵산 관음암 ↕

 

    여주 봉미산 신륵사   ↕

 

    양산 영축산 통도사

 

    의성 비봉산 수정사  월영루 ▲        대광전▼

 


   가야산 해인사 일주문  (합천)  ↕

 

   가야산 해인사 일주문 ↕    역천겁이불고(歷千劫而不古)  수 천겁 지나도 오히려 새롭고 .

 

                          긍만세이장금(亘萬歲而長今)  수 만년 지나도 언제나 당당하다

 

    가야산 해인사 구광루측문(합천)

 

    가야산 해인사 대적광전 ↕  대적광전

 

    가야산 해인사 대적광전 ↕   법보전

 

    가야산 해인사 대적광전 ↕   대방광전

 

     대적광전   금강계단

 

    노악산 남장사 일주문(상주)

 

    금강산 건봉사 불이문(고성)

 

    상왕산 개심사(서산)

 

    백양산 고불총림 백양사(장성)

 

    재약산 표충사 대광전(밀양)

 

    태화산 마곡사(공주)

 

     부소산 고란사(부여)

 

    조계산 조계총림 송광사(순천)

 

    영축산 영축총림 통도사(양산)      국지대찰   불지종가

 

    영축산 영축총림 통도사  ↕  양산   示跡雙林問幾秋(시적쌍림문기추)    쌍림에서 열반에 드신 지 몇 해인가 묻노니,

 

                               潽使群生禮不休(보사군생예불후)   많은 군생들 예 올리기를 쉬지 않네

 

    운제산 오어사(포항)

 

    정족산 전등사(강화도)

 

    삼신산 쌍계사(하동)

 

    태백산 보덕사 (영월)

 

    발본산 금몽암(영월) ↕   금몽암  ▲

                                                     우화루  ▼

 

     부산  금정산 범어사 조계문 

 

    선찰대본산   금정산 범어사    1912년인 78세에 쓰신 글  ↕

 

    고성 연화산 옥천사 옥천각

 

    해남 두륜산 대흥사

 

    해남 두륜산 대흥사

 

    해남 두륜산 대흥사

 

    대구 팔공산 동화사      71옹 해사

 

    대구 팔공산 동화사

 

   대구 무학산 학산재    1891년 海士 書

 



    순천 조계산 선암사 삼성각

 

 

    봉화 청암정 청암수석 1682년書

 

    안동 하회마을 충효당

 

 

    전남 곡성 동리산 태안사 일주문  ↕

    곡성 동리산  태안사  ↕

 

      전남 해남 두륜산 대흥사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 강선루

 

     대구 팔공산 파계사 진동루

 

    경남 합천 가야산 해인사

 

     경남 양산 천성산 홍룡사

 

 

    공주  태화산 마곡사

 

 

    강진 만덕산 백련사

 

    안동 천등산 봉정사

 

 

    안동 천등산 봉정사

 

    문경 운달산 김룡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傳 김익겸書

 

    영주 봉황산 부석사

 

    부안 능가산 개암사 김석천 9세

 

    부아 능가산 개암사 김례산 8세

 

    익산 함라산 숭림사 일주문

 

    정읍 내장산 내장사  정혜루 『천하명승내장산』

 

 양산 영축산 통도사  해장보각

 

    구미 태조산 도리사 산문

 

    문경 운달산 김룡사

 

    문경 운달산 김룡사

 

    문경 운달산 김룡사

 

   문경 운달산 김룡사

 

    문경 운달산 김룡사

 

    문경 운달산 김룡사

 

    원주 치악산 구룡사

 

 

    해남 두륜산 대흥사 화장법해

 

    해남 두륜산 대흥사

 

    순천 조게산 선암사

 

    부산 금정산 원효암

 

    양산 영축산 통도사 극락암

     영천 팔공산 은해사

 

    용문산 용문사

 

    고창 선운사 백파대율사비

 

    예산 화엄사 ↕

 

      영천 팔공산 은해사

 

    대구 남평문씨세거지 광거당

 

    양산 영축산 극락암

 

       대구 남평문씨세거지  수봉정사

 

 

IMG_2716.jpg

[죽서루]

 

이 누각에는 율곡 이이 선생을 비롯한 여러 유명한 학자들의 글이 걸려 있다.

 

그 중 ‘제일계정(第一溪亭)’은 현종 3년(1662)에 허목이 쓴 것이고,
‘관동제일루(關東第一樓)’는 숙종 37년(1711)에 이성조가 썼으며
‘해선유희지소(海仙遊戱之所)’는 헌종 3년(1837)에 이규헌이 쓴 것이다.

  

IMG_2717.jpg

[죽서루 현판]

 

죽서루에는 당대 쟁쟁한 많은 문인 학자들이 시를 남겼고
그시가 오늘날 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일부는 죽서루에 현판과 벽면에 걸려 있었다.  

 

그 중의 몇 가지만 담아 왔습니다.

그 중 촛점이 맞지 않아 떨린 사진도 있지만, 올려봅니다.

 

IMG_2718.jpg

[이규헌이 쓴 海仙遊戱之所(해선유희지소)]

 

IMG_2719.jpg

[허목이 쓴 第一溪亭(제일계정)]

 

 

 
 
경주 망월사
 
 
경주 불국사
 
고성 무량사
 
 
고성 옥천사-대구 동화사 대웅전 현판을 모각해 온 것으로
동국진체풍의 대가 기성 쾌선(箕城 快善,1691~1764)대사의 필체
 
고성 청량사
 
 
구례 화엄사 - 선조의 제8왕자 의창군 광(義昌君 珖,1589~1645)의 필체로 당시 왕실을 풍미하던
한석봉체의 장중한 필법으로 알려져 있다.
 
김해 반야암
 
김해 보륜정사
 
김해 불조사
 
김해 성조암
 
김해 은하사
 
김해 장유사
 
김해 천불사
 
김해 흥덕사
 
나주 불회사
 
남해 용문사
 
남해 화방사
 
대구 동화사-동국진체풍의 대가 기성 쾌선(箕城 快善,1693~1764) 대사의 필체
 
문경 김룡사
 
문경 대승사
 
밀양 무봉사
 
밀양 반야정사
 
부산 금강사
 
부산 범어사(보수 전 고색단청)
 
부산 범어사(보수 후 새단청)
 
부산 삼광사
 
부산 묘관음사
 
부산 해인정사
 
산청 율곡사
 
 
삼랑진 만어사
 
순천 송광사
 
양산 통도사 대웅전-사면으로 현판이 걸렸는데 동쪽의 현판이 대웅전이다.
 
양산 통도사 대웅전 남쪽면 처마에 걸린 금강계단 현판-흥선대원군의 글씨
 
양산 통도사 대웅전 북쪽 처마에 걸린 적멸보궁 현판
 
 
 
언양 석남사
 
영덕 장육사
 
영암 도갑사
 
예산 수덕사
 
용인 금화선원
 
울산 고경사
 
진천 보탑사
 
진해 성흥사
 
청도 대국사
 
청도 운문사 구대웅보전
 
청도 운문사 신축 대웅보전
 
하동 쌍계사
 
하동 칠불사
 
함양 용추사

 

 

▲ 보광사는 영조의 효심이 절절히 배어있는 곳입니다. 대웅보전의 현판은 영조의 친필로 알려져 있습니다.


운주사 일주문 현판


 

'보물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텃밭 농작물 8가지 순치는 방법  (0) 2018.04.01
강원도 태백산 산행코스  (0) 2017.09.18
[스크랩] 실생활에 유익한 스마트폰 앱안내  (0) 2015.02.22
평상*테이블 만들기  (0) 2014.07.21
귀신귀자  (0) 2013.06.16

+ Recent posts